[푸드 테라피] 윌슨병에 가장 좋은 식품
이주원 기자 joo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7-16 10:02   수정 2025.07.16 10:06

윌슨병은 신체가 구리 대사를 하지 못해 몸에 구리가 지나치게 축적되는 질환이다. 

매우 희귀한 유전질환으로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뇌와 간에 손상을 주어 결국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윌슨병은 6세 이전에는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사춘기가 될 때까지도 특별한 증상이 없다. 

그러나 가족 중 윌슨병 이력이 있는 경우는 정기적 검사를 통해 체내 구리 농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윌슨병 증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생기는 증상이 구토다. 

구토에는 피가 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침을 많이 흘리게 되고 복수가 차기 때문에 배가 빵빵해지기도 한다. 

뇌와 근육의 상태도 나빠진다. 말하기, 음식 삼키기, 걷기가 어려워지고 지적 능력도 손상될 수 있다. 

근육이 굳고 힘이 없어지는 것도 특징이다.

 

윌슨병 환자에게 가장 권장되는 식품은 양파다. 

양파에는 황이 많이 섞여 있어 이것이 구리 배출을 돕는다. 

신선한 파인에플도 좋다. 

파인애플의 브로멜라인 효소는 염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중금속 중독은 신체 여러 부위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윌슨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구리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미네랄이다. 

그러나 구리 대사를 못하는 윌슨병 환자에게는 독이 될 뿐이다. 

따라서 구리를 많이 함유한 보리, 브로콜리, 초콜릿, 마늘, 버섯, 견과류, 콩, 계란, 오렌지, 호두, 건포도 등은 피해야 한다. 

카페인과 알코올도 절대 먹어서는 안된다.

카페인과 알코올은 간에 악영향을 주어 윌슨병 환자의 증상을 심화시킨다.

 

윌슨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꼭 물을 점검해야 한다. 

상수도 배관을 통해 구리가 녹아들 수 있기 때문이다.

구리로 만든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면 배관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주방기구도 구리로 만든 것은 절대 사용해선 안 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