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감기약 사태 대비 종합 모니터링 진행 중"
생산·유통·현장 상황, 총괄적 모니터링…중국 코로나 상황도 포함
최윤수 기자 jjysc022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1-11 06:00   수정 2023.01.11 06:01

지속적으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감기약 품절 사태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감기약과 관련 생산, 유통, 약국 현장 등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방식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춘절 연휴기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인 관광객 등 감기약 품절이 다시 한번 일어나는 것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시금 악화되는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에 일부 중국인 관광객 및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감기약을 대량으로 구입, 중국으로 보내는 일명 ‘사재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지표 이외에도 중국의 코로나 상황 등도 함께 감안해 사태가 악화되기 전에 언제라도 감기약 판매 수량 제한을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중보건위기대응 회의를 통해 감기약 판매 수량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는 설명이다.
 
지난 6월 정부는 감기약 수급 지표, 현장 상황 등을 고려해 판매 수량 제한 대신 모니터링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공중보건위기대응 회의를 통해 감기약 판매 수량 제한의 필요성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감기약 수급에 대한 상황이 악화되면 언제라도 판매 수량 제한에 나설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정부가 판단을 바꾼 배경에는 감기약 수급 지표 등이 호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최근 2주 지표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감기약 수급에 대한 상황은 좋다”며 “여기에 대한약사회에서 진행 중인 ‘감기약 3~5일 분 판매 캠페인’이 약사사회에서 전반적으로 인지도가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요소들을 종합했을 때, 감기약 판매 제한보다는 모니터링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며 “공중보건위기대응 회의를 통해 감기약 판매 수량 제한 필요성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진 만큼, 식약처는 수급상황에 따라 언제라도 적극적인 개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감기약 수급 상황 모니터링을 주관하는 식약처가 어떠한 기준을 근거로 수급 상황을 판단하는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식약처는 국내 생산, 유통 상황 등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약처에서는 현재 감기약 생산 동향과 유통 상황을 모두 점검하고 있다”며 “이 외에도 현장 상황 등의 파악은 약사회와 보건복지부가 함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질병관리청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했던 것처럼, 식약처는 기준점을 제시하지 않을 계획”이라며 “다만 총체적인 지표들을 검토하는 작업은 지속해서 진행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총체적인 지표에는 종국 코로나19 확산 상황도 반영된다는 것이 식약처의 설명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감기약 부족 사태의 시발점은 악화되는 중국의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국내에 머물고 있는 중국인 관광객 및 유학생들이 대규모로 감기약을 구매해 자국으로 보내는 일이 늘어난 것”이라며 “이에 최종 판단에는 중국의 코로나19 상황 등도 함께 고려하려 한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