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경 식약처장이 연구자 생활 당시 인보사의 약제 경제성평가 책임자로 관련 연구를 진행해 의도적으로 대응을 늦췄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의경 처장은 연구보고서 작성 자체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밝히면서 부당 개입이 있다면 사퇴하겠다고 밝혀 무고함을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이의경 처장은 12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정의당 윤소하 의원의 질의에 대해 이 같이 답변했다.
윤소하 의원은 "인보사 사태에 대해 허가취소까지 왜 두달동안 지지부진했는지 국민들은 의문을 갖고 있다"면서 "코오롱이 지난해 제출한 급여신청서에 첨부된 약제평가심사서에서는 인보사 경제성평가연구의 책임자로 이의경 처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600~700만원의 비싼 가격에도 입소문으로 3,700여 명의 환자가 인보사를 투약받았는데, 만약 급여화가 됐다면 어떤 사태가 벌어졌겠는가"라면서 "식약처에서 혹시 대응이 늦은 이유, 국회 자료협조가 이뤄지지 않은 것, 허가취소에 두달 넘게 지연된 것이 식약처장이 인보사와 직접 관련이 있기 때문 아닌가" 물었다.
이에 이의경 처장은 "경제성평가는 식약처 허가 이후의 단계로, 급여등재평가를 위한 과정으로 직접 관련성이 없다"면서 "연구 자체는 2017년 12월까지 이뤄진 것으로 인보사 사태 이전에 이뤄졌다"고 답했다.
윤소하 의원은 "이의경 처장이 정말 권한을 갖고 대응한 것이 없는가. 검찰수사에 포함될수도있으나, 별개로 감사원 감사가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만약 부당한 개입이하나라도 있다면 사퇴할 의향이 있는가" 물었다.
이의경 처장은 "경평연구에 대해 국민에게 떳떳하다"면서 " 신약이 보험급여할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결과"라고 강조했다.
이 처장은 "급여에 대한 중요연구로 전문가가 적은 분야에서 사명감으로 진행했다. 심사평가원의 경평 가이드라인에 의해 객관적으로 수행한 연구이므로, 기업의 사사로운 이해관계나 그런 내용이 개입될 여지가 없다"면서 "인보사 사건과 무관하고 추후 의혹도 없고, 어떠한 문제가 생기면 사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