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전국 3,509개 읍면동 복지허브화해 올해 330만 건의 방문상담 실시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2-26 12:00   수정 2018.12.26 12:12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올해 12월부터 전국의 모든 읍면동주민센터(3,509개)에서 노인, 장애인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을 찾아가 상담하고 급여 제공과 서비스를 연계하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실시하게 됐다고 26일 밝혔다.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는 기존 읍면동주민센터 내 복지행정팀 외에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을 추가로 설치해 복지대상자를 발굴하거나 방문상담을 통한 가구별 특성에 따른 복지 수요를 파악하여 공적서비스나 민간복지자원 연계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지부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맞춤형 복지차량*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맞춤형 복지차량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2,661대 지원(2019년 30대 지원 예정)했으며, 현장 방문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위기 상황에 즉각 대응 할 수 있도록 가상 동행 정보통신(IT) 기기인 '안전지킴이(스마트워치: 응급호출, 현장녹취, 경찰신고 등 기능)'도 올해까지 총 7,983대 보급했다.

또한,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에서 수행하는 복지대상자 발굴 및 사례관리를 위한 사업비를 지원(읍면동별 840만 원씩 총 124억 원)하고, 담당 공무원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협력기관·단체 등에 대해서도 역량 강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읍면동주민센터의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통한 방문상담은 총 330만 건(2018년 1월~11월 누적, 2017년 224만8,000건보다 47% 증가) 실시했다. 

방문상담 통해 국민이 필요한 복지욕구를 파악해 공적급여 제공이나 민간의 복지자원 연계 등 맞춤형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총 338만 건, 2018년 1월~11월 누적)했다.

또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 민간지원 인력(14만5000명)을 발굴·운영하여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자원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양동교 지역복지과장은 "전국 모든 읍면동주민센터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를 시행해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먼저 찾아내고, 필요한 보건복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복지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