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트아미노펜, COX-1 변종효소 억제
실험용 개 대상 연구서 작용기전 규명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2-09-18 06:46   
비 스테로이드성 항 염증약물들(NSAIDs)은 COX-1 효소나 COX-2 효소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용하고, 아세트아미노펜은 COX-3 효소의 작용을 저해하고...

100년이 넘도록 대표적인 진통해열제의 하나로 꼽히면서도 아직까지 구체적인 작용기전의 일부는 미스테리의 영역에 남아있었던 아세트아미노펜의 신비가 풀렸다.

美 유타州 소재 브리검영大 대니얼 L. 사이먼 박사팀은 '국립과학아카데미회보' 최신호에 공개한 논문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이 염증과 관련이 있는 한 변종효소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혔다.

이부프로펜이나 아스피린 등의 NSAID들이 COX-1 효소나 COX-2 효소들에 작용하는 것과는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강력한 항 염증작용을 나타내지도 못하고 COX-1 또는 COX-2 효소들에 관여하지도 않는다는 것.

사이먼 박사는 "뇌 내부에 COX 효소 타입의 물질로 아세트아미노펜에 보다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말했다.

그의 연구팀은 실험용 개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 COX-1 효소와 유사하면서도 분명한 차이점을 보이는 변종효소 2종을 발견하고, 이들을 'COX-3 효소'라고 명명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이 효소들이 COX-1 효소나 COX-2 효소와는 달리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유사한 작용기전을 지닌 다른 약물들에 의해 그 활성이 강하게 억제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사이먼 박사는 "뇌와 척수 내부에서 이 COX-3 효소들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오랫동안 베일에 가려있던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기전일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통증 관련연구에 괄목할만한 진전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COX-1 효소의 변종인 COX-3 효소가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억제된다는 사실은 COX-1 효소가 통증이나 고열이 발생할 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그러나 사이먼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가 매우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사람에게서도 COX-3 효소의 존재를 확인하는 일과 이 효소의 활성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후속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